베트남 투자 뉴스 해설

도심 지하를 관통하는 새로운 이동축, 호치민 메트로 2호선

테드창 2025. 3. 19. 15:40

베트남 최대 도시 호치민은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 철도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메트로(METRO) 프로젝트는 도시 교통 혁신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현재 1호선(Bến Thành - Suối Tiên)이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가운데, 2호선(Bến Thành - Tham Lương)도 본격적인 개발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호치민 메트로 2호선의 최신 진행 상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1호선과의 비교를 통해 호치민 대중교통의 미래를 전망해 보겠습니다.

지하철 2호

1. 호치민 메트로 2호선 기본 정보

호치민 메트로 2호선은 Bến Thành에서 Tham Lương까지 이어지는 총 11.3km의 지하철 노선입니다. 이 노선은 호치민 도심에서 서쪽 외곽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 노선명: Bến Thành – Tham Lương 총 길이: 11.3km (1단계)
  • 역 개수: 10개(전 구간 지하철)
  • 총 투자비: 47조 VND (약 20억 달러)
  • 운영 시작 목표: 2030년(예정)

2호선은 호치민시 중심부(Bến Thành)에서 출발하여 서쪽 끝인 Tham Lương까지 연결되는 노선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총 6단계(총 길이 48km)로 확장할 계획이며, 완공되면 호치민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2호선의 최신 진행 상황 (2025년 3월 기준)

현재 호치민시 인민위원회와 도시철도관리위원회(MAUR)는 2호선 1단계(11.3km 구간)의 건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보상 및 토지 수용 진행률: 90% 이상 완료
  • 건설 계약 입찰 진행 중 (2025년 상반기 착공 목표)
  • 2023~2024년: 초기 준비 작업(설계 변경, 자금 조달) 수행
  • 2025~2028년: 본격적인 공사 진행 예정
  • 2029~2030년: 시험 운행 및 정식 개통 목표

지연 원인

  • 2호선 프로젝트는 당초 계획보다 상당 기간 지연되었습니다. 주요 지연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기 설계 변경으로 인한 일정 지연
  • 토지 보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예상보다 시간이 소요 국제 금융 지원 조달 문제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예산 배정 및 공사 계획 차질

2025년 이후 속도전 예상

최근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라 2호선 프로젝트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 2025년부터 공사 일정이 본격화될 전망
  • 지난해 말 아시아개발은행(ADB)과 독일개발은행(KfW)에서 추가 자금 지원 합의
  • 일본국제협력기구(JICA)도 기술 지원 및 자금 협력 강화 약속
  • 2호선은 향후 5개 노선(2A~2E)으로 확장될 계획이며, 이는 호치민시 전역을 연결하는 핵심 철도망이 될 것임

 

2. 1호선과 2호선 비교: 무엇이 다를까?

▶️ 1호선과 2호선 개요 비교

구분 1호선 (Bến Thành – Suối Tiên) 2호선 (Bến Thành – Tham Lương)
총 길이 19.7km 11.3km (1단계)
운행 방식 고가(17.1km) + 지하(2.6km) 전 구간 지하
역 개수 14개 10개
총 사업비 43조 VND 47조 VND
착공 시점 2012년 2025년 (예정)
운영 상태 현재 운행 중 2030년 운영 예정
주요 경유지 Bến Thành, Thủ Đức, Suối Tiên Bến Thành, Tân Bình, Tân Phú
확장 가능성 추가 노선 연결 예정 6단계 확장 계획 

1. 운행 방식

  • 1호선은 고가 + 지하 복합 노선으로, 비용 효율성을 고려한 설계입니다.
  • 2호선은 전 구간 지하철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혼잡한 도심 구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지상 공간 활용과 도시 미관을 고려한 선택입니다.
  • 기술적으로 2호선은 1호선보다 더 복잡한 공사 기법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총 투자비가 더 높게 책정되었습니다.

2. 운영 시점 차이

  • 1호선은 현재 성공적으로 운행 중으로, 호치민 시민들에게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2호선은 2030년 목표로, 토지 보상 문제 및 재정 문제로 인해 일정이 많이 지연되었습니다.
  • 1호선 운영 경험을 토대로 2호선 건설 과정에서는 더 효율적인 관리가 기대됩니다.

3. 주요 연결 지역 차이

  • 1호선은 동쪽(Suối Tiên) 방향, 주로 Thu Duc과 같은 신도시와 연결됩니다.
  • 2호선은 서쪽(Tham Lương) 방향으로, Tân Bình, Tân Phú 등 인구 밀집 지역을 연결합니다.
  • 2호선이 개통되면 서부 지역과 도심 연결성이 대폭 향상될 것입니다.

4. 장기 확장 계획

  • 1호선은 3호선, 5호선과 연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2호선은 향후 48km까지 확장하여 호치민 교통의 핵심 축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두 노선 모두 Bến Thành 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통합 네트워크 구축의 기반이 됩니다.

 

3. 2호선의 주요 역 및 노선 특징

2호선 1단계는 총 10개의 역으로 구성되며, 각 역은 호치민 주요 지역을 연결합니다.

주요 역 정보

 추후 노선 및 이름 변경 될 수 있음. 

  • Bến Thành (Pham Ngu Lao) 역: 호치민 중심부에 위치, 1호선과 환승 지점, 벤탄시장인근
  • Tao Dan 역: 배낭여행객이 많은 구역, 서부 버스터미널 연결
  • Dan chu역: Phu Nhua, Tan Binh과 연결되는 교통 요지
  • Hòa Hưng 역: 호치민 기차역(Sai Gon역) 근처, 북부 및 중부 베트남 철도 연결
  • Lê Thị Riêng 역: 대형 공원(Le Thi Reing Park)인근, 주거 지역 중심
  • Phạm Văn Hai 역: 유명한 Pham Van Hai 시장 근처, 상업 및 주거 지역
  • Bay Hien 역 : Tân Bình 중심지, 주요 교차로 및 전통 시장 인접
  • Nguyen Hong Dao 역
  • Bà Quẹo 역: Tân Bình과 Tân Phú 구 경계 지역
  • Pham Van Bach 역 : 지하로는 마지막역. 떤선녓 공항 근처
  • Tham Lương 역: 서쪽 종착역이자 서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12구 지역, 5호선과 환승 예정

 

기술적 특징

  • 심도: 평균 18~25m 지하에 건설
  • 열차 최대 속도: 시간당 80km
  • 역 간 이동 시간: 평균 2~3분
  • 전체 노선 이동 시간: 약 20분(Bến Thành에서 Tham Lương까지)
  • 첨단 안전 시스템: 자동 운행 시스템, 재난 대비 기능 강화

 

4. 2호선 개통 후 기대 효과

도심 교통 체증 완화

  • 현재 호치민 도심(1군~Tân Bình)은 출퇴근 시간 극심한 정체가 발생합니다.
  • 2호선이 개통되면 Bến Thành ↔ Tham Lương 구간 이동 시간이 50%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존 버스 및 오토바이 이용객이 지하철로 이동하며 대중교통 이용률 증가가 기대됩니다.
  • 2030년까지 호치민의 대중교통 분담률을 현재 10% 미만에서 25%까지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부동산 및 지역 경제 발전

  • 2호선 주변 지역(Tân Bình, Tân Phú, Quận 12) 부동산 가치 상승이 예상됩니다.
  •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신도시 개발 및 상업 중심지 형성이 가속화될 것입니다.
  • 최근 부동산 분석에 따르면, 2호선 예정 노선 주변 토지 가치는 이미 30~40% 상승했으며, 개통 전후로 추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 TOD(Transit-Oriented Development, 대중교통 중심 개발) 방식의 도시 개발이 촉진됩니다.

1호선과의 환승을 통한 이동 편의성 향상

  • Bến Thành에서 1호선 ↔ 2호선 간 환승이 가능해집니다.
  • 장기적으로 3, 5, 6호선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어 통합 대중교통망 구축의 기반이 됩니다.
  • 환승센터 건설로 버스,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도 강화됩니다.

환경 개선 효과

  • 자가용 및 오토바이 이용 감소로 인한 배기가스 감소
  • 지속가능한 교통 인프라 구축으로 탄소 배출량 감소에 기여
  • 도심 녹지 공간 확대 및 보행자 중심 도시 구조로의 전환 촉진

 

5. 1호선 운영 현황 및 초기 성과

현재 운행 중인 1호선은 호치민 대중교통 혁신의 첫 번째 사례로, 다음과 같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운영 현황

  • 승객 수: 일평균 약 6만 명 이상이 이용 중
  • 운행 간격: 출퇴근 시간 5분, 비첨두 시간 10분
  • 운영 시간: 오전 5시부터 밤 11시까지
  • 티켓 가격: 구간별 차등 요금제 (12,000~25,000 VND)

초기 성과

  • 대중교통 이용 패턴 변화: 기존 오토바이 이용자들이 지하철로 전환하는 추세
  • 역세권 발전: 1호선 주요 역 주변 상업 시설 및 부동산 가치 상승
  • 환경 영향: 오토바이 및 자가용 이용 감소로 대기 오염 완화 효과
  • 도시 개발 패턴 변화: 역세권 중심의 계획적 개발 촉진

1호선에서 얻은 교훈

  • 건설 일정 관리의 중요성: 1호선 역시 당초 계획보다 크게 지연
  • 자금 조달의 안정성 확보 필요: 예산 문제로 인한 공사 중단 사례 존재
  • 지역 사회 참여 중요성: 1호선 역세권 개발 과정에서 지역 주민 의견 반영 중요성 확인
  • 연계 교통 시스템 구축 필요성: 버스, 택시와의 원활한 환승 시스템 필요성 확인

 

6. 2호선 개발의 도전 과제

재정 문제 해결

  • 프로젝트 지연의 가장 큰 원인은 자금 조달 문제입니다.
  • 2호선에 소요되는 총 47조 VND는 베트남 정부 단독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입니다.
  • 정부는 국제 금융기관 및 민간 투자 유치 방안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
  •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과 독일개발은행(KfW)에서 약 10억 달러 추가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모델을 적용한 자금 조달 방안도 고려 중입니다.

공사 기간 단축 필요

  • 2호선 개통이 늦어질 경우, 교통 문제 해결 효과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2025년 착공 후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 1호선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공사 관리가 필요합니다.
  • 베트남 정부는 2030년 이전 개통을 목표로 건설 일정을 조정 중입니다.

대중교통 연계 시스템 구축 필요

  • 현재 호치민 대중교통(버스, 택시, 오토바이)과 지하철 연계가 부족합니다.
  • 환승 시스템 구축 및 대중교통 연계 방안 마련이 필요합니다.
  • 새로운 페더 버스(Feeder Bus) 노선 개발 및 역 주변 환승센터 건설 계획이 진행 중입니다.
  • 통합 교통 카드 시스템 도입으로 환승 편의성 향상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기술적 도전과 인력 양성

  • 전 구간 지하 공사에 따른 기술적 난이도 증가
  • 지하수 관리 및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첨단 공법 필요
  • 도시철도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전문 인력 양성 필요
  • 1호선 운영 경험을 통한 노하우 축적 및 기술 이전 계획 수립

 

7. 호치민 메트로 통합 계획과 미래 전망

8개 노선의 종합 메트로 네트워크

호치민시는 장기적으로 총 8개 메트로 노선(약 220km)을 건설하는 대규모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 1호선(Bến Thành - Suối Tiên): 현재 운행 중
  • 2호선(Bến Thành - Tham Lương): 2030년 개통 예정
  • 3호선(Bến Thành - Bình Tân): 계획 중
  • 4호선(Nguyễn Xí - Hiệp Bình Phước): 계획 중
  • 5호선(Cân Giuộc - Sài Gòn Bridge): 사전 타당성 조사 중
  • 6호선(Ba Quẹo - Phú Lâm): 계획 중
  • 경전철(Thủ Thiêm - Long Thành 공항): 검토 중 

2025-2030 통합 대중교통 발전 계획

베트남 정부는 '2025-2030 호치민시 대중교통 발전 마스터플랜'을 통해 대중교통 분담률을 크게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025년까지 대중교통 분담률 15% 달성
  • 2030년까지 대중교통 분담률 25% 달성
  • 2035년까지 대중교통 분담률 35% 달성
  • 도시철도와 버스 시스템의 통합 네트워크 구축
  • 환승센터 건설 및 통합 요금 시스템 도입

스마트 시티 계획과의 연계

호치민시는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메트로 시스템을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 AI 기반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도입
  • 실시간 승객 정보 제공 및 혼잡도 관리
  • 모바일 앱 연동 통합 교통 서비스 구축
  • 역세권 스마트 상업 공간 개발

 

8. 2호선, 호치민 대중교통의 핵심 노선이 될 것인가?

2호선은 1호선과 함께 호치민시 도시철도 시스템의 핵심 축이 될 것입니다. 비록 1호선보다 개통 일정이 늦지만, 전 구간 지하철 노선으로 도심과 서부 지역을 연결하며 도시 교통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1호선과의 연결을 통한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
  • 서부 지역 개발 촉진 및 부동산 가치 상승
  • 혼잡한 도심 구간을 통과하는 지하철로 교통 체증 완화
  • 도시 개발 패턴의 변화와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 촉진

베트남의 경제 성장과 도시화가 계속됨에 따라, 호치민시의 메트로 시스템은 도시 발전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2호선이 개통되는 2030년에는 호치민시의 도시 교통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토바이와 자가용 중심이었던 교통 체계가 점차 대중교통 중심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1호선이 현재 이미 성공적으로 운영되면서 보여준 가능성은 2호선 및 후속 노선들의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호선의 운영 경험과 교훈을 바탕으로, 2호선은 더 효율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