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베트남 제품 46% 관세, 주식투자자라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뉴스를 보다가 깜짝 놀랐어요.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 제품에 46%나 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이었죠. 캄보디아(49%)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라니, 베트남 투자를 하고 계신 분들은 가슴이 철렁했을 것 같아요.
베트남 기업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충격' - Thanh nien
Doanh nghiệp Việt 'sốc' với thuế đối ứng của Tổng thống Donald Trump
Tổng thống Donald Trump đã chính thức ban hành thuế nhập khẩu đối ứng với nhiều nước, trong đó có Việt Nam.
thanhnien.vn
이럴 때일수록 냉정하게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하는 게 중요할 것 같아서 정리해 봤습니다.
관세 폭탄, 왜 터졌을까?
트럼프 대통령의 'Make America Wealthy Again' 정책은 미국 제조업 보호와 무역적자 해소에 중점을 두고 있어요. 특히 베트남은 최근 몇 년간 미국과의 무역에서 상당한 흑자를 내면서 정책적 타깃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베트남 주식 채팅방에서는 "이게 갑자기 웬 날벼락이냐"는 반응이 많았지만, 사실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기조를 생각하면 어느 정도 예상 가능했던 일이기도 해요.
내 포트폴리오는 괜찮을까? 산업별 영향 체크
전자제품 산업 - 삼성, LG 등 직격탄
베트남 전자산업은 대표적인 수출 주력 산업인데요. 삼성과 LG 같은 대기업들의 스마트폰, 가전제품 생산기지가 많이 있어요. 미국향 수출 제품들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는 매출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 포트폴리오에 있는 FPT(베트남 IT 대표주)는 일본, 유럽 시장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 같아 일단 홀드 하기로 했습니다.
섬유·의류 산업 - 위기와 기회 공존
TCM(짜리아), STK(선텍) 같은 섬유·의류 기업들은 미국 수출 비중이 상당히 높아요. 이번 관세로 당장 실적에 타격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TCM 보니 이미 유럽, 일본 바이어 비중을 늘리고 있더라고요. 2025년 2월까지 아시아시장이 전체 매출의 77%를 차지했고 그중 21%가 일본이었습니다. 이런 기업들은 단기 충격 후 회복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지켜볼 만합니다.
목재 및 가구 - 경계 필요
PTB, GDT 같은 목재·가구 기업들은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편이에요. 공장 가동률 저하와 고용 불안정까지 이어질 수 있어 당분간은 신규 매수보다는 상황을 지켜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수산물 산업 - 실적 하향 불가피
VHC(비나밀렉스), ANV(남베트) 같은 수산물 수출기업들은 특히 새우와 메기 품목이 미국 수출 비중이 높아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VASEP(수산물수출가공협회)도 벌써 협상 요청을 했을 정도니까요.
그러나 VHC는 재무상태가 탄탄한 편이고 유럽시장 매출이 늘고 있어요. 2023년 2월 유럽 시장에서의 매출이 전년 대비 116% 증가, 2024년 7월에는 4% 증가했습니다. 그래서 2분기 실적 발표 때까지 지켜보려고 해요.
이번 주식시장 충격,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1. 포트폴리오 점검이 급선무
저는 어제 저녁부터 제 베트남 포트폴리오를 싹 다시 점검했어요. 먼저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을 체크하고, 내수 중심 기업 비중을 늘리는 방향으로 조정하려고 합니다.
특히 MSN(마산그룹), VNM(비나밀크), MWG(모바일월드) 같은 내수 중심 우량주들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여 매수 기회로 삼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2. 환율 리스크 관리도 중요
이번 관세로 베트남 동화(VND)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어요. 제가 앞서 포스팅한 것처럼 동화가 1달러당 26,000동을 찍었습니다. 지금은 살짝 내려와 25,760VND입니다. 달러 기반 자산 가치도 함께 체크하면서 ETF나 달러 자산 비중을 일시적으로 늘리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제 경우는 FUEVFVND(다이아몬드 ETF)를 일부 추가 매수를 보고 있어요.
3.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주목하자
위기 상황에서 기업들의 대응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어요. 시장 다변화, 내수 확대 등의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자로서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ETF로 분산 투자하기
개별 종목 리스크가 커진 지금, ETF를 통한 분산 투자가 안전할 수 있어요. FUEVFVND(다이아몬드 ETF)는 내수 중심 우량주 비중이 높고, FUESSV50(VN30 ETF)은 대형주 기반으로 단기 변동성 대응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배당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재조정
불확실성이 커진 지금, 안정적인 배당을 주는 기업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요. 관세에 간접적인 영향은 받을 수 있겠지만 내수 중심 사업이 대부분이 금융주인 VIB , SHB, TCB은 배당 수익률이 괜찮은 편이라 단기 하락에도 버틸 힘이 될 수 있습니다.
뉴스 읽는 루틴 만들기
이런 상황일수록 정확한 정보 수집이 중요해요. 저는 변수가 많은 시기에는 하루에 한 번은 베트남 경제 뉴스 2~3개와 환율, 금리 관련 지표를 체크하고 있습니다. 사실 평범한 날에는 바빠서 뉴스 창도 못 열어볼 때도 많습니다만 보게 된다면 보통 VNExpress와 CafeF를 자주보고 저에게 도움이 많이 되더라고요.
패닉은 금물, 냉정한 판단이 필요한 때
미국의 46% 관세는 분명 베트남 경제와 주식시장에 단기적 충격을 줄 수 있는 이슈이지만 그 안에서 누가 흔들리지 않고 준비했는지, 어떤 기업이 위기 속에서 기회를 만드는지 우리는 그걸 먼저 읽어야 할 때라고 생각해요.
환율, 주가, 수출이 흔들릴 수는 있어요. 하지만 내 기준과 전략이 흔들리는 건 막아야겠죠. 저는 내일 베트남 주식 장이 열리면 패닉 매도 대신, 오히려 내수 중심 우량주 몇 개와 ETF 추가 매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번 이슈에 어떻게 대응하고 계신가요? 나만의 위기 대응 전략이 있다면 댓글로 함께 나눠주세요!
본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닌 정보 공유 목적의 콘텐츠입니다. 투자 결정은 각자의 판단과 리서치를 기반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
'베트남 투자 뉴스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규제'가 주식 투자에 영향을 준다고?' 실제 사례로 설명해드려요. (0) | 2025.04.09 |
---|---|
환율이 오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26,000동 도달) (0) | 2025.04.04 |
Vingroup, Vincom Retail 지분 매각으로 2조 동 이상 이익... 그 의미는? (0) | 2025.04.03 |
지진에서 자유로운 나라? 베트남의 지진 안전도 분석 (0) | 2025.03.30 |
2025 베트남 공유 숙박업 규제 : 호치민 임대시장의 변화 (1)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