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투자 뉴스 해설

베트남 유망 상장 기업 분석 (4부): 베트남 필수 소비재 강자, 마산 그룹(Masan Group, MSN) 주식 투자 전략

테드창 2025. 2. 13. 18:07

1. 서론: 마산그룹(Masan Group, MSN), 베트남 소비재 시장의 강자

마산그룹(Masan Group, 티커: MSN)은 베트남 최대의 필수소비재(식음료·유통) 및 산업자재 기업으로 소비재, 소매 유통, 육류·식품 가공, 광업, 테크핀(TechFin)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산그룹은 베트남의 내수 시장 성장과 함께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베트남 국민의 필수 소비재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산그룹의 사업 구조, 최근 실적, 투자 전망 및 전략을 심층 분석하겠습니다.

마산그룹

2. 마산그룹(Masan Group, MSN)의 사업 구조 분석

① Masan Consumer (Masan 소비재 - FMCG 사업 부문)

  • 베트남 필수소비재(FMCG) 시장 점유율 20% 이상
  • 주요 브랜드: Chin-Su(소스), Nam Ngu(생선 소스), Omachi(라면), Vinacafé(커피)
  • 2025년 목표: FMCG 시장 점유율 25% 확대

② WinCommerce (WinMart – 소매 유통 사업 부문)

  • 베트남 최대 슈퍼마켓 체인 WinMart & WinMart+ 운영
  • 2025년 기준 전국 4,500개 매장 운영 중
  • 온·오프라인 유통망 확장 → 온라인 식품 판매 강화

③ Masan MEATLife (축산·식품 가공 사업 부문)

  • 베트남 최초의 현대식 축산 및 육류 가공 시스템 운영
  • 냉장육 브랜드 MEATDeli → 프리미엄 육류 시장 공략
  • 2025년 예상 매출 2조 VND(약 800M USD) 이상

④ Masan High-Tech Materials (광업·희토류 사업 부문)

  • 희토류, 텅스텐, 금속 소재 생산
  • 글로벌 배터리 및 반도체 산업 공급망 확대 중
  • 테슬라(Tesla), 삼성, LG 등과 배터리 원자재 공급 계약 논의 중

⑤ Techcombank (TCB) 지분 보유 (금융 사업 부문)

  • 베트남 대표 은행 중 하나인 Techcombank(티커: TCB) 지분 15% 보유
  • 금융·핀테크 확장 가능성

📌 핵심 성장 전략:
소비재 시장 확대 + 유통망 확장 + 광물·배터리 산업 투자

 

3. 마산그룹(MSN)의 최근 실적 분석 (2025년 기준)

📌 2025년 1분기 실적 (예상 포함)

지표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예상) 변화율
매출 95조 VND (3.8B USD) 105조 VND (4.2B USD) +10.5% 증가
순이익 6.5조 VND (260M USD) 7.2조 VND (288M USD) +10.8% 증가
소비재(FMCG) 매출 35조 VND (1.4B USD) 40조 VND (1.6B USD) +14.3% 증가
유통(WinMart) 매출 30조 VND (1.2B USD) 34조 VND (1.36B USD) +13.3% 증가
광물·소재 매출 20조 VND (800M USD) 21.5조 VND (860M USD) +7.5% 증가

 

📢 핵심 포인트

  • FMCG(소비재) 매출 증가 → 베트남 내수 시장 성장 지속
  • 유통망 확대 → WinMart+ 편의점 확장 효과
  • 광물·배터리 소재 매출 증가 → 글로벌 공급망 확대

 

4. 마산그룹(MSN) 주식 투자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① 마산그룹의 성장 가능성 (긍정적 요인)

베트남 내수 시장 성장 & 소비재 수요 증가

  • 2025년 베트남 소비재 시장 성장률 7% 이상 전망
  • Masan Consumer의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

유통망 확장 & 온라인 커머스 강화

  • WinMart+ 매장 확대 → 지역별 유통 네트워크 강화
  • 온라인 식품 배달 및 이커머스 확장 (Tiki, Shopee, Lazada 협업)

배터리·반도체 산업과 희토류 사업 확장

  • Masan High-Tech Materials, 글로벌 배터리·반도체 기업과 협력 강화
  • 전기차 배터리·5G 산업 핵심 원자재 수요 증가

🔴 ② 마산그룹의 리스크 요인 (부정적 요인)

경쟁 심화 (FMCG·유통·핀테크 산업 내 경쟁)

  • 베트남 내 글로벌 브랜드 진출 확대 → 시장 점유율 경쟁 심화
  • 롯데마트, Circle K, Co.op Mart 등과 유통 경쟁

광물·희토류 산업의 국제 가격 변동성

  • 글로벌 경기 둔화 시 원자재 가격 하락 가능성
  •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정책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고려 필요

외국인 투자자 유출 가능성

  • VN-Index 하락 시 외국인 투자자 매도 가능성
  • 2025년 글로벌 증시 변동성 증가 가능성

 

5. 마산그룹(MSN) 주식 투자 전략

📌 단기 투자 전략

  • FMCG·유통 사업 실적 발표 전 매매 타이밍 고려
  • WinMart+ 매장 확장 및 온라인 판매 실적 반영 후 단기 매도 가능 (목표가: 100,000~110,000 VND)

📌 장기 투자 전략

  • 소비재·광물·배터리 사업 확장 기대 → 3~5년 보유 전략
  • Techcombank 지분 보유로 금융업 성장 가능성 고려

📌 ETF 활용 투자

  • Masan Group(MSN)이 포함된 ETF 투자 가능
    • VN30 ETF (MSN, VCB, VIC 등 포함)
    • VFMVN Diamond ETF (외국인 투자 제한 종목 포함)

 

6. 결론: 마산그룹(MSN)은 베트남 소비재·유통·광물 산업의 핵심 기업

🔵 마산그룹은 베트남 소비재·유통·광물 산업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 FMCG 시장 성장, 유통망 확장, 희토류 사업 확장 등이 주가 상승의 주요 요인입니다.
🔵 다만, 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변동성, 외국인 투자 유출 가능성 등의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 다음 글: [베트남 부동산 개발회사 주식 비교: Novaland(NVL) vs. Phat Dat(PDR)] 🚀
📢 5부에서는 베트남 부동산 시장의 주요 기업을 비교 분석하겠습니다. 😊